분류 전체보기97 [Git] 브랜치 이름 변경 목적 : sse라는 브랜치를 user/sse로 옮기기old name : ssenew name : user/sse(옮기기 라고 표현했지만, Git은 브랜치 이름에 /를 포함할 수 있어서 user/sse처럼 "디렉토리 구조"처럼 보일 뿐, 실제ㅔ ㅔ폴더를 만드는 것은 아님. 👉 Git에서는 /가 있는 브랜치 이름을 내부적으로 "네임스페이스"처럼 관리) 1. 기존 브랜치를 새로운 브랜치로 변경git branch -m sse user/sse 이렇게 하면 sse 브랜치가 user/sse로 이름이 변경됨. 2. 원격 저장소(origin)에 반영git push origin user/sse 3. 기존 원격 브랜치 삭제 (필요한 경우)만약 기존 sse 브랜치가 원격(origin)에 남아 있다면 삭제하려면:git pu.. 2025. 2. 20. [Intelij] git으로 관리할 프로젝트가 Intelij에서 svn 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/ svn 설정 해제 / git 으로 연결하기 원래는 Eclipse 에서 svn으로 형상관리하던 프로젝트가 있다.너무 불편해서.. 팀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하기로 했다. * IDE : Eclipse ➡️ Intelij* 형상관리 : Svn ➡️ Git 그렇게 로컬의 Eclipse 프로젝트를 Intelij로 생성해 컴파일 하고, Git 연동까지 했다.(아래 블로그 글도 참조~)https://sungeune97.tistory.com/entry/Git-%ED%94%84%EB%A1%9C%EC%A0%9D%ED%8A%B8-git-%EC%97%B0%EB%8F%99-%EC%88%9C%EC%84%9C [Git] 프로젝트 git 연동 순서🚀순서 정리Git 초기화(git init).gitignore 작성브랜치 생성 또는 확인 (git branch, git checko.. 2025. 2. 19. [Git] 프로젝트 git 연동 순서 🚀순서 정리Git 초기화(git init).gitignore 작성브랜치 생성 또는 확인 (git branch, git checkout -b)변경 사항 추가 및 커밋 (git add ., git commit -m "message")원격 저장소 푸시 (git push origin ) ✅ 1. Git 초기화 및 연동프로젝트 경로에 Git 리포지토리 초기화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리포지토리를 초기화하려면:=> git init.git 폴더가 생성되고, Git이 이 폴더를 버전 관리하는 리포지토리로 인식한다.기존 Git 프로젝트라면 이 단계는 건너뛰기✅ 2. .gitignore 파일 작성필요한 파일들 무시 설정.gitignore 파일을 만들어서 Git이 추적하지 않도록 할 파일/디렉토리를 지정.예를 들어:.ide.. 2025. 2. 19. [Intelij] 인텔리제이에서 개별 import 유지하는 법 인텔리제이 자동 Import 해주는 Optimize Imports(Ctrl + Alt + O)를 실행 했더니,import 부분이 와일드카드(*)로 바뀌어 있었다.불필요한 부분은 import하지 않고 싶었기 때문에 개별 import로 바꾸기 위해 아래의 방법을 사용했다. IntelliJ에서 개별 import 유지하는 방법🔹 방법 1: 와일드카드 import 사용 기준 변경IntelliJ에서 설정 열기Windows/Linux: Ctrl + Alt + SMac: Cmd + ,설정 경로 이동Editor → Code Style → JavaImports 탭 선택Class count to use import with '*'Names count to use static import with '*'두 값이 기본적으로.. 2025. 2. 4. 서블릿 컨테이너의 ServletContext 동작 방식 / HttpSession 서블릿 관련된 포스팅이 있어서 공부 후 기록했다.ServletContext 의 생성 및 Session의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동작 방식과 소멸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다. ServletContext서블릿 컨테이너(아파치 톰캣과 같은)가 시작되면, 해당 서블릿 컨테이너는 모든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배포하고 로드(load)합니다.웹 어플이케이션이 로드되면 서블릿 컨테이너는 ServletContext를 한번 생성하여, 서버의 메모리에 보관합니다.(각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블릿 컨테이너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인 web.xml 또는 애너테이션 기반 설정을 읽고 초기화 작업을 수행.)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생성:웹 애플리케이션이 처음 로드되고 초기화될 때 서블릿 컨테이너가 ServletContext 객체를.. 2025. 1. 20. [Linux] alias 등록 / alias 수정 / alias 별칭 영구등록 리눅스의 명령어 중 뎁스가 깊은 경로로 이동하거나, 로그 보는 명령어 등 자주 사용하는데 매번 작성하기 불편한 명령어를 별칭(alias)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.# 현재 등록되어 있는 별칭 보기alias # alias 등록# alias 지정별칭 = '명령어'alias waslog='tail -f /server/tomcat_main/logs/catalina.out' 사용시, 지정별칭인 waslog 만 입력하면 됨. # alias 삭제# unalias 명령어별칭unalias waslog 하지만 이렇게 등록하거나 수정한 alias는 서버가 재부팅 되면 초기화가 된다.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alias를 ./bashrc 에 등록해서 사용해준다.# 파일 수정(없으면 생성 후 등록)vi ~/.bashrc# i.. 2024. 11. 14. 이전 1 2 3 4 ··· 17 다음